본문 바로가기
주메뉴 바로가기
홈
사이트맵
EWHA
메뉴
연구소 소개
인사말
조직도
규정
연구 활동
간행물
연구과제
학술대회
행사
교육 활동
교육 안내
교육 소개
교육 신청
교정/교열
교정/교열 안내
신청 절차
국어 상담
상담 게시판
알림
공지사항
언론 보도
연구소 소개
인사말
조직도
규정
연구 활동
간행물
연구과제
학술대회
행사
교육 활동
교육안내
교육소개
교육신청
교정/교열
교정/교열 안내
신청 절차
국어 상담
상담 게시판
알림
공지사항
언론 보도
메뉴닫기
국어 상담
국어 상담
상담 게시판
상담 게시판
상담 게시판
홈
>
국어 상담
>
상담 게시판
글 작성
작성자
제목
내용 작성
내용
웹에디터로 내용 작성
텍스트에디터로 내용 작성
안녕하세요, 최귀환님.
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'-노라' '-로라' 의 쓰임은 다음과 같습니다.
-노라
((동사 어간이나 어미 ‘-으시-’, ‘-었-’, ‘-겠-’ 뒤에 붙어))
(예스러운 표현으로) 해라할 자리나 간접 인용절에 쓰여, 자기의 동작을 장중하게 선언하거나 감동의 느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.
¶ 이기고 돌아왔노라./우리의 회포를 적어 형을 영결하노라./우리는 어떠한 어려움에 부닥쳐도 명예를 지키겠노라 맹세하였다./그는 이기고 돌아왔노라고 말했다.
- 로라
((‘이다’, ‘아니다’의 어간 뒤에 붙어))((간접 인용절에 쓰여))
(예스러운 표현으로) 자신의 행동을 의식적으로 드러내어 나타내는 종결 어미.
¶ 적들이 쳐들어오자 스스로
영웅이로라
외치던 사람들이 모두 도망갔다.
그런데 질문하신 '내노라' 와 '내로라' 의 경우에는 '내로라하다' 가 하나의 자동사로
‘내로라하다’
를 쓰셔야 합니다.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.
> 내로라―하다[자동사] 스스로 젠체하며 뽐내다.
¶내로라하는 정계의 인사들이 다 모였다.
> 내노라―하다[자동사] ‘내로라하다’의 잘못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‘내로라하다’ 와 ‘내노라하다’ 의 어원을 알고 싶으시면 아래의 글을 참조해 주십시오. (출처: 국립국어원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'내로라하다'는 어원적으로 대명사 '나'에 서술격 조사 '이-', 주어가 화자와 일치할 때 쓰이는 선어말 어미 '-오-'(흔히 의도법 선어말 어미나 1인칭 선어말 어미라 부르기도 합니다), 평서형 종결어미 '-다'가 차례로 결합된 형식입니다.
(1) 내로라:{나}+{이-}+{-오-}+{-다}→나+이-+-로-+-라 → 내로라
중세 국어에서는 '-오-'가 서술격 조사 '이다' 뒤에서 '-로-'로 바뀌고, 평서형 종결 어미 '-다'가 선어말 어미 '-오-' 뒤에서 '-라'로 바뀌는 현상이 있어서, '{나}+{이-}+{-오-}+{-다}'는 '내로라(나+이-+-로-+-라)'로 나타납니다.
선어말 어미 '-오-'의 화석은 현대 국어에도 남아 있습니다. "하노라고 한 것이 이 모양이다."에서 '-노라'가 바로 그것입니다. '-노라'는 현재 시제를 나타내는 '-느-'에 어미 '-오라'가 결합한 것인데, 이때의 '-오라'는 우리가 (예)에서 보았듯이 선어말 어미 '-오-'와 평서의 종결어미 '-라'('-다'는 '-오-' 뒤에서 '-라'로 바뀝니다)로 구성된 형식입니다.
이와 같은 우리의 논의는 '-로라'의 성격이 '-오라'와 같다는 주장으로 귀결됩니다. '-로라'의 '-로-'는 선어말 어미 '-오-'의 딴 형태(전문 용어는 이형(allomorph)입니다)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. 그런데 '-로라'가 '-오라'와 같다면 '-로라'는 '-노라'와 같은 부류의 어미가 됩니다. '-노라(-느-+-오라)'는 현재시제를 나타내는 '-느-'에 '-오라'가 결합되어 형성된 형식입니다. 국어에서는 '-느-'는 동사 어간 뒤에만 나타나고 형용사나 서술격 조사의 어간 뒤에는 나타나지 못한다는 제약이 있어, '-노라'는 동사 어간 뒤에만 나타납니다.
선어말 어미 '-느-'가 나타나지 못하는 서술격 조사 '이다'나 형용사 '아니다'('아니다'는 어원적으로 명사 '아니'에 서술격 조사 '이다'가 결합하여 형성된 형식입니다) 뒤에는 '-느-'가 빠진 '-오라'만 나타나며, 이때 '-오-'는 '-로-'로 바뀝니다. 연결어미 '-아서/어서'가 서술격 조사 뒤에서 '-라서'로 바뀌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("그것은 나의 잘못이라서(잘못이어서) 어쩔 도리가 없었다.").
'-노라'와 '-로라'가 쓰이는 예에는 "각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사람들이 모였다."나 "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." 따위가 있습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
>>최귀환님 글안녕하세요, 질문있습니다.
노라와 로라의 차이가 헷갈립니다.
서로 어떻게 다르고
어떨 때 노라를 쓰고 어떨 때 로라를 쓰는지 설명좀 부탁드립니다.
내노라와 내로라...둘다 사용 가능한가요?
안녕하세요, 최귀환님.
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'-노라' '-로라' 의 쓰임은 다음과 같습니다.
-노라
((동사 어간이나 어미 ‘-으시-’, ‘-었-’, ‘-겠-’ 뒤에 붙어))
(예스러운 표현으로) 해라할 자리나 간접 인용절에 쓰여, 자기의 동작을 장중하게 선언하거나 감동의 느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.
¶ 이기고 돌아왔노라./우리의 회포를 적어 형을 영결하노라./우리는 어떠한 어려움에 부닥쳐도 명예를 지키겠노라 맹세하였다./그는 이기고 돌아왔노라고 말했다.
- 로라
((‘이다’, ‘아니다’의 어간 뒤에 붙어))((간접 인용절에 쓰여))
(예스러운 표현으로) 자신의 행동을 의식적으로 드러내어 나타내는 종결 어미.
¶ 적들이 쳐들어오자 스스로
영웅이로라
외치던 사람들이 모두 도망갔다.
그런데 질문하신 '내노라' 와 '내로라' 의 경우에는 '내로라하다' 가 하나의 자동사로
‘내로라하다’
를 쓰셔야 합니다.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.
> 내로라―하다[자동사] 스스로 젠체하며 뽐내다.
¶내로라하는 정계의 인사들이 다 모였다.
> 내노라―하다[자동사] ‘내로라하다’의 잘못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‘내로라하다’ 와 ‘내노라하다’ 의 어원을 알고 싶으시면 아래의 글을 참조해 주십시오. (출처: 국립국어원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'내로라하다'는 어원적으로 대명사 '나'에 서술격 조사 '이-', 주어가 화자와 일치할 때 쓰이는 선어말 어미 '-오-'(흔히 의도법 선어말 어미나 1인칭 선어말 어미라 부르기도 합니다), 평서형 종결어미 '-다'가 차례로 결합된 형식입니다.
(1) 내로라:{나}+{이-}+{-오-}+{-다}→나+이-+-로-+-라 → 내로라
중세 국어에서는 '-오-'가 서술격 조사 '이다' 뒤에서 '-로-'로 바뀌고, 평서형 종결 어미 '-다'가 선어말 어미 '-오-' 뒤에서 '-라'로 바뀌는 현상이 있어서, '{나}+{이-}+{-오-}+{-다}'는 '내로라(나+이-+-로-+-라)'로 나타납니다.
선어말 어미 '-오-'의 화석은 현대 국어에도 남아 있습니다. "하노라고 한 것이 이 모양이다."에서 '-노라'가 바로 그것입니다. '-노라'는 현재 시제를 나타내는 '-느-'에 어미 '-오라'가 결합한 것인데, 이때의 '-오라'는 우리가 (예)에서 보았듯이 선어말 어미 '-오-'와 평서의 종결어미 '-라'('-다'는 '-오-' 뒤에서 '-라'로 바뀝니다)로 구성된 형식입니다.
이와 같은 우리의 논의는 '-로라'의 성격이 '-오라'와 같다는 주장으로 귀결됩니다. '-로라'의 '-로-'는 선어말 어미 '-오-'의 딴 형태(전문 용어는 이형(allomorph)입니다)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. 그런데 '-로라'가 '-오라'와 같다면 '-로라'는 '-노라'와 같은 부류의 어미가 됩니다. '-노라(-느-+-오라)'는 현재시제를 나타내는 '-느-'에 '-오라'가 결합되어 형성된 형식입니다. 국어에서는 '-느-'는 동사 어간 뒤에만 나타나고 형용사나 서술격 조사의 어간 뒤에는 나타나지 못한다는 제약이 있어, '-노라'는 동사 어간 뒤에만 나타납니다.
선어말 어미 '-느-'가 나타나지 못하는 서술격 조사 '이다'나 형용사 '아니다'('아니다'는 어원적으로 명사 '아니'에 서술격 조사 '이다'가 결합하여 형성된 형식입니다) 뒤에는 '-느-'가 빠진 '-오라'만 나타나며, 이때 '-오-'는 '-로-'로 바뀝니다. 연결어미 '-아서/어서'가 서술격 조사 뒤에서 '-라서'로 바뀌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("그것은 나의 잘못이라서(잘못이어서) 어쩔 도리가 없었다.").
'-노라'와 '-로라'가 쓰이는 예에는 "각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사람들이 모였다."나 "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." 따위가 있습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
>>최귀환님 글안녕하세요, 질문있습니다.
노라와 로라의 차이가 헷갈립니다.
서로 어떻게 다르고
어떨 때 노라를 쓰고 어떨 때 로라를 쓰는지 설명좀 부탁드립니다.
내노라와 내로라...둘다 사용 가능한가요?
첨부파일
추가
삭제
비밀번호
보안문자
취소